top of page
검색

조직설계방법론

  • 작성자 사진: JS Chung
    JS Chung
  • 2018년 2월 13일
  • 1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18년 2월 14일

저자인 Jay. R. 갤브레이스 교수는 조직설계 분야에서 학문적인 업적뿐만 아니라 실무적으로 왕성한 활동을 해온, 이 분야를 대표할만한 세계적인 권위자이다.


기업의 경영자들에게 조직설계에 대한 지식과 노하우를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집필된 이 책을 통해 저자가 특히 강조하고자 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설계는 경영자의 책임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경영자의 역할을 단순한 의사결정자가가 아닌 의사결정형성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경영자가 조직의 운영적이고 세부적인 업무들에 일일이 개입하여 의사결정 권한을 행사하는 것보다는, 조직설계를 통해 구성원들이 맡은 분야에서 자율적으로 협력하고 의사결정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둘째, 조직설계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조직구조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조직설계의 효과성은 조직구조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인력운영 및 보상시스템 등과 같이 조직구조와 함께 조직시스템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들이 전략을 중심으로 정합성을 이룰 때만이 달성된다는 것이다. 셋째, 조직설계가 경쟁력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변화할 수 있는 조직의 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저자는 빠른 변화와 속도, 그리고 일시적인 경쟁우위로 규정되는 최근의 경영환경 하에서는, 전략의 변화에 부합되도록 조직을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이야말로 경쟁우위의 원천이 된다고 설명한다. 이 책은 1995년에 출간된 "Designing Organizations"의 확대 개정판으로 모두 10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제2장, 제3장은 조직설계의 기본 개념에 대해 설명한 장들로 이후 전개되는 내용들의 기초가 된다. 제4장, 제5장, 제6장에서는 기본구조를 보완하는 핵심 수단인 수평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 후 기본구조와 수평 프로세스의 결합에 대해 다룬다. 제7장, 제8장, 제9장은 조직설계의 새로운 흐름과 미래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제10장에서는 1장에서 9장까지의 내용을 종합하면서, 지속적인 조직설계의 필요성과 합리적인 조직설계의 진행순서, 상황에 따라 조직구조를 선택하는 방법, 조직설계 프로젝트의 진행 요령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특히, 조직설계의 성공 여부는 전략적 적합도의 달성 여부와 함께 구성원들의 참여와 몰입 여부에 달려 있음을 강조한다. 마지막에서는 책 전체에 대한 결론도 제시되어 있다.

 
 
 

Comments


© 2022 Organization Research Group

  • Black Facebook Icon
  • Black Twitter Icon
  • Black LinkedIn Icon
bottom of page